분류 전체보기 (26) 썸네일형 리스트형 다시 도전! 2024년(사)한국산업정보학회/지식경영연구원 춘계공동학술대회 올해도 석박사생 들과 함께 학회 참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ESG등급평가결과와 기업성과간의 관계성 연구를 기간범위확대, 기업규모별 비교, 등급평가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2년째 진행하고 있는데, 올해는 어느정도 정돈해 놓고 논문제출도 병행하려 합니다. ^^ ------------------------------------------------------------------------------------------------------------------------ 2024년(사)한국산업정보학회/지식경영연구원 춘계공동학술대회 개최 및 논문모집 주제: AI기반 기술과 관련산업의 융합화 일시: 2024년5월30일(목)~6월1일(토) 장소:광주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논문 투고 및 심사일정] .. 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운동(?) 또다시 논문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새학기가 다시 시작되면 많은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다시 받으며 "어떻게 하면 논문을 쉽게 쓸수 있을까" 하는 고민들을 하게 될테니 말이다. 필자도 같은 고민을 늘하곤 한다.. 쉽게 뚝딱 논문하나 후두둑 쓸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얄팍한 기대이긴 하지만 있을수도 있다. 잘 짜여진 프레임을 기초로 활용하여 답습하듯 작성하면 아마 기본이상의 논문은 작성할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도 경험했지만 그건 내가 쓴 것이 아니다. 잘 된 논문을 필사한 것에 가깝다. 링컨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give me six hours to chop down a tree and i will spend the first four sharpening the axe. 나에게 나무를 자를 여섯.. 연구모형중 회귀분석(regression test)이란 연구모형이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어떤 요인을 활용(인용)하여 과학적 방식으로 구체적이고 전반적인 상황을 밝혀가기 위한 기본틀을 연구모형이라고 한다. 모형(model)은 '실제 상황에 대한 이상적 표현' 이다. 연구모형에는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것이기에 다양한 요인이나 변수가 존재하게 된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딱 드러맞는 원인이 많지 않기에 설명력을 가진 다양한 요인들을 대입하여 설명을 하게 되고 요인들이 사회현상과 관련이 있는지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도식화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우리가 자주 활용하는 설명모델은 회귀모형분석이다. 원인과 결과가 명확하다면 서로 인과관계가 존재하다고 볼 수 있는데 '어떤 자료에 대해서 그 값에 영향을 주는 조건을 고려하여 구한 .. (사)한국산업정보학회2023년 춘계학술대회 제약바이오산업학과 학생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춘계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를 참여해 보려 합니다. 이번 학회의 주제는 "지속가능한 ESG경영을 위한 AI융합기술"이네요.. 일시: 2023년 6월 2일(금)~3일(토) 장소: 부산 동의대학교 산학협력관 Prime홀 아직 시간이 좀 있기에 제약산업에 디지털 기술들이 어느정도 도입이 되었고, 또 그런 이슈가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특허정보와 기업정보를 기반으로 살펴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디지털기술은 지속경영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기에 주제가 연결되죠.. 또하나는 고령화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고려하여 자주 사용되고 있는 알약 크기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를 정리해 보려 합니다. 잘 정리해서 학회 논문투고까지 연결되도록 추.. 연구가설 가설(hypothesis)은 모수(연구대상)에 대한 예상이나 주장, 추측을 말한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 사이에 관계에 대한 연구자의 기대를 진술한 것으로 연구자가 가지는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이라고 한다. 연구를 수행하려면 무턱대로 시작하기보다는 대략적인 아웃라인(연구문제)을 잡아야 하는데, 그 첫걸음이 가설 설정이라고 말하고 싶다. 연구문제는 연구자가 무엇을 연구할 것인지 의문문 형태로 설명하는 것이라면, 가설은 원인과 결과로 개념을 설명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뭔가 연구하려는 주제가 어떤 이유로 어떤 결과가 구현될 것이다라는 예측이나 예견이 있다면 근거자료들을 활용해서 이러한 가설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은 관련 주제에.. 연구(논문) 스토리라인 설정하기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스토리라인이 중요하다. 요즘 잘 만들어진 시나리오가 웹툰이나 영화, 드라마 등으로 제작되었던 것은 많이들 알고 계실 것이다. 논문도 독자가 있기에 시나리오처럼 독자에게 어떻게 읽혀나갈지, 어떻게 소통하며 연구한 내용을 전달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혼자보는 일기장처럼 자유롭게 적어나가면 형식주의적인 논문 투고나 학위논문제출에 빨간 신호등이 켜질 것이다. • 사회과학의 연구주제에서 어떤 원인과 결과가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있다. 사회과학은 사회현상을 과학적 방식으로 검증이 가능한 관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연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현상을 해석하여 향후 발생예측을 하는 연구 (통계를 통한 산술식 도출) 현상 속에서 개선 요소를 변화시켰을 때.. 연구주제 제목 설정해 보기 • 연구의 주제를 고려하여 짜임새 있는 제목 설정하기 연구제목은 논문에 담긴 연구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이나 연구자가 뒷받침하는 이론, 조사한 변수, 검증방법 등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도록 제목을 구성해 본다. • 연구의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결과로 구분할 수 있는 연구제목이 좋은 타이틀이다. 예시) •의료기관(대상)의 도매상 선정(연구결과)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연구주제) •국가별(대상) 비처방의약품 허가정보 및 표시정보(연구결과)의 비교 분석(연구방법) : 한국, 미국,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약국 약사(대상)의 실무 표준 및 서비스 표준(연구주제)에 대한 연구 •약사(대상)의 전문성 강화(연구결과)를 위한 국가별 교육제도 비교연구(연구방법) •복약순.. 학위논문 준비 시작(warming up) 3월이 시작되면서 또는 9월이 시작되면서 대학원 졸업을 준비하는 마지막 학기 원생들은 스트레스를 슬슬 받기 시작하고 있을 것이다. 이유는 간단하다..졸업을 위해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니까...... 물론 방학기간에 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과 계획은 있었지만, 얼래불래 이렇궁저렇궁 하는 이유들로 인해 차일피 미뤄왔는데 느닷없이 개강을 맞으면서 멘붕이 오고 있을 것이다. 어떻게 아냐고??? ㅋㅋㅋ 저도 대학원 다닐때 그랬으니까요....하하하 그럼 어떻게 해야 될까.... 우선 두가지 방안이 있다. 첫번째는 다시 잘 준비해서 다음학기에 논문심사를 받자.... 두번째는 어떻게든 미숙하지만 시간과 열정을 갈아넣어 이번학기에 다른 원우들 나갈때 나도 묻어나가자.... 하지만, 둘다 리스크가 존재한다.. 다음학기에 .. 논문준비 첫걸음 논문준비를 첫걸음은 뭐니뭐니 해도 주제선정이다. 아무도 설정하려는 주제에 관심이 없을 수 있지만, 자신은 명확한 연구주제의 활용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취업에 도움을 받으려한다면 관심 기업이 호감을 가질만한 주제를…….. 학문적 깊이를 증진하고자 한다면 사회적 이슈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주제를……… 빠른 졸업을 위해서라면 논리적으로 쉽게 증명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하라.. 연구하려는 주제를 3가지 정도 설정한다. (당연히 신규한 내용으로 판단되려면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1.기본적으로는 잘 알고 있는 주제(A)를 선택하고, 최근 관련 연구동향을 참조하여 변화의 동향이나 추세(a)를 연구주제로 설정하면 전체적인 그림파악이 수월하다. (A+ax) 2.만약 주제가 없다면 관심 연구키워드(A)를 중심으.. 논문과 연구보고서의 차이점 논문이란 새로이 발견된 앎(지식)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다른 이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보고서이므로, 체계적이며 (기본적인 양식이 주어짐) 논리적이고 (사회과학적 입증과정이 필요) 일관성 있게 (가설과 검증, 선행연구와 연구결과의 비교) 일정한 양식과 형식에 맞추어 작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논문은 보통의 글과는 달리 반드시 갖추어야 할 형식과 요건들이 있다. 이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논문은 아무리 글솜씨가 빼어나다고 해도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없으며, 단순한 현황을 정리한 보고서가 될 수 있다. •연구보고서(report) 읽어야할 자료들을 조사하고, 읽은 내용을 파악하고 비교군과 상호비교(분석)하여 차이점이나 특이점을 기록하는 보고서 형태의 연구결과물을 말한다. 보고서는 사실, 사건, 현상 등에 관한 글로..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