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연구의 주제를 고려하여 짜임새 있는 제목 설정하기
- 연구제목은 논문에 담긴 연구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 이를 위해 연구목적이나 연구자가 뒷받침하는 이론, 조사한 변수, 검증방법 등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도록 제목을 구성해 본다.
• 연구의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결과로 구분할 수 있는 연구제목이 좋은 타이틀이다.
- 예시)
•의료기관(대상)의 도매상 선정(연구결과)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연구주제)•국가별(대상) 비처방의약품 허가정보 및 표시정보(연구결과)의 비교 분석(연구방법) : 한국, 미국,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약국 약사(대상)의 실무 표준 및 서비스 표준(연구주제)에 대한 연구•약사(대상)의 전문성 강화(연구결과)를 위한 국가별 교육제도 비교연구(연구방법)•복약순응도가 낮은 궤양성 대장염 환자 치료(대상1)에서 약사의 중재(대상2)가 임상결과와 복약순응도(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연구방법)•궐련 개비(대상)의 브랜드명 표시 여부 및 표시 언어(연구결과)가 궐련의 매력도와 위험성 인식(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특허자산(대상)이 경영성과(연구결과)에 미치는 영향 : 중견기업의 자원기반관점에서•지식재산권을 기반(연구대상)으로 하는 브랜드 관리(연구결과) 사례연구(연구방법) : 발효유 브랜드인 매일 불가리아와 남양 불가리스를 중심으로
•제목은 학위논문의 내용과 연구목적, 성격을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2문장 이내로 정리한다.
- 예시) 000의 XXXX와 @@@@@에 관한 연구
•영문 표현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다.
- A STUDY ON ○○○○○AND ○○○○ OF KOREA

연구제목은 연구주제가 가급적 명확해져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석사논문의 연구주제 설정은 기존 연구로부터의 관련자료들이 충분히 탐색되는 주제에서 도출하라.
석사단계에서 너무 어려운 연구주제를 선택하면 연구진도가 빠르게 진척되지 않고 기초이론과 선행연구자료 검토단계에서 늪에 빠질 수 있기에 우선은 빠르게 진도를 뽑아 낼 수 있는 다소 만만한 주제로 연구를 시작하고 연구내용의 깊이나 품질 수준을 차츰 높여나가는 것이 효율적이다.
- 1) 기존 연구질문에 대하여 모집단(대상)을 변화시켜 연구수행
- 기존의 연구문제를 단순히 모집단을 변화시킴으로써 새로운 연구주제를 만들 수 있다.
- 기존 연구의 문제점들을 확장할 수 있고 구체화도 가능하다.
- 2) 연구대상이 되는 변수(연구결과, 연구방법)를 변화시켜 본다.
- 기존의 연구문제에서 사용한 변수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보는 것도 유용하다.
•가이드라인이나 기본 법률적 규칙을 국가간에 차이점을 비교하여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면 인과관계, 선후관계, 전후효과를 추측할 수 있는 주제가 좋다.
- 국가별로 가이드라인이나 규칙이 설정되게 된 사유를 우선 정리해야 함
- 대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현안을 도출하여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유인하려면 원인과 결과, 규제의 취지와 국민정서 간에 특성들을 고려해야 함
- 개선점을 시행했을 때 기대되는 효과를 기존과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여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리뷰의견도 필요
<어려운 주제 예시>
예시) 부모가 생후 1년이 지난 아이에게 하루 한시간씩 글을 읽어주면 아이가 초등학교 1학년이 되었을 때, 어휘능력이 다른 학생보다 뛰어나다.
- 연구증명을 위해 7년을 기다려야 알 수 있음
글. 최강모. 2023.03.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