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주제 설정

논문준비 첫걸음

반응형

논문준비를 첫걸음은 뭐니뭐니 해도 주제선정이다. 

 

아무도 설정하려는 주제에 관심이 없을 수 있지만,

자신은 명확한 연구주제의 활용목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취업에 도움을 받으려한다면

  • 관심 기업이 호감을 가질만한 주제를……..

학문적 깊이를 증진하고자 한다면

  • 사회적 이슈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주제를………

빠른 졸업을 위해서라면

  • 논리적으로 쉽게 증명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하라..

연구하려는 주제를 3가지 정도 설정한다.

(당연히 신규한 내용으로 판단되려면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1.기본적으로는 잘 알고 있는 주제(A)를 선택하고, 최근 관련 연구동향을 참조하여 변화의 동향이나 추세(a)를 연구주제로 설정하면 전체적인 그림파악이 수월하다. (A+ax)

 

2.만약 주제가 없다면 관심 연구키워드(A)를 중심으로 유사연구사례를 파악하고, 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를 중심으로 자체 확보가 가능하거나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면 실증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Ax)

기존연구주제에서 새로운 요인(a)을 투입하면 어떤 결과변화가 생길지를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의미가 있다. (Y=ax+Ax)

 

연구주제나 키워드가 좀 몇개로 좁혀진다면 정보조사(research)를 좀 해보자.

  • 1) 사회적 문제를 파악하고 구체화해 본다. (identifying a problem)
    • 우선 뉴스나 학술지, 저널 등에서 최근 화두가 되는 키워드들을 찾아보고
    • 본인이 관심있는 분야나 키워드를 선별해 본다.  
  • 2) 연구하려는 문제나 주요 키워드와 관련된 기존 문헌을 조사하고(reviewing the literature)
    • 누가, 언제, 어떤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는지 찾아본다.
    • 가급적이면 기존 문헌은 조사시점에서 3년이내의 자료를 먼저 살펴보길 권장한다.  
  • 3) 연구문제를 구체화시킨 연구가설을 설정하고(developing research hypotheses)
    • 기존문헌들이 어떤 정보들과 근거(이론)들을 활용하여 무슨 주장이나 가설을 검증하였는지 정리해본다. 
  • 4) 자료를 수집하여(collecting data)
    • 연구가설들을 정리하여 엑셀이나 refworks, endnote 등을 이용하여 참조문헌들을 미리 정리해보길 권장한다. 
  • 5) 자료를 분석하고(analyzing the data)
    • 선행연구들이 활용한 데이터들의 입수방법, 데이터들의 특성(척도를 고려), 과학적 입증을 위해 활용한 통계적 기법이나 연구방법(모형)이 무엇인지 조금 깊게 자료들을 읽고 흐름들을 파악해 본다. 
  • 6) 결과를 해석하는(interpreting the results) 일련의 체계적 과정을 의미한다.
    • 본인이 관련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동일한 방법이나 절차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지 시뮬레이션을 해보면서 연구 전체과정을 체계화해 본다. 

연구주제 설정해 보기
연구논문 제목 설정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