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hypothesis)은 모수(연구대상)에 대한 예상이나 주장, 추측을 말한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 사이에 관계에 대한 연구자의 기대를 진술한 것으로 연구자가 가지는 연구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이라고 한다.
연구를 수행하려면 무턱대로 시작하기보다는 대략적인 아웃라인(연구문제)을 잡아야 하는데, 그 첫걸음이 가설 설정이라고 말하고 싶다.
연구문제는 연구자가 무엇을 연구할 것인지 의문문 형태로 설명하는 것이라면, 가설은 원인과 결과로 개념을 설명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뭔가 연구하려는 주제가 어떤 이유로 어떤 결과가 구현될 것이다라는 예측이나 예견이 있다면 근거자료들을 활용해서 이러한 가설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은 관련 주제에 대한 경력이나 내공(?)이 있다면 쉽게 예상치를 설정할 수 있겠지만,
경험이나 사전지식이 적다면 기존에 어떤 이론(확인된 가설)이 있었는지 살펴보면서 설정한 가설이 타당한 설정인지 점검해보아야 한다. 그래서 선행연구자료를 리뷰해야 하는 이유가 여러개가 있지만 그중 하나가 가설을 설정하기 위해 정황파악을 하는 용도가 있다.
연구문제와 가설을 구조화해보자..
연구논문은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면 아래의 도식처럼 원인과 결과를 구분하고 영향요인들을 탐색해 나가는 과정에서 목차에 내용을 각각 배치할 수 있다.
- 연구가설의 유형
1. 단순 가설 (Simple hypothesis): 두 변수 간의 관계(하나는 독립 변수이고 다른 하나는 종속 변수)를 설명함
[예시] 차를 마시면 체내 철분 흡수가 감소할 수 있다.
2. 복합 가설 (Complex hypothesis): 두 개 이상의 변수를 포함함
조합은 두 개의 독립 변수와 하나의 종속 변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음
[예시] 차 섭취와 비타민 C 결핍은 모두 개별적으로 신체의 철분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차 섭취와 비타민 C 결핍은 모두 개별적으로 신체의 철분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남성과 여성에서는 상이하게 나타난다.
3. 실증적 가설 (Empirical hypothesis): 가정을 바탕으로 검증된 가설임
이 가정의 사실 여부는 수집된 데이터의 해석으로 결정됨
[예시] 마스크는 모든 코로나바이러스 변종을 동일하게 막을 수 있다.
4. 귀무 가설(H0) 및 대립 가설(H1):
귀무가설(null hypothesis, 영가설)은 변수 간에 무관함을 설명하는 것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는 관계가 없다)
연구자들이 이를 무효화 하려고 증거를 수집하기 때문에 귀무가설이라고 함
[예시] 모발 오일이나 모발 성장 세럼의 사용은 남성의 탈모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귀무가설은 증명할 수 없으며 기각만 가능함
따라서 이는 대부분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es)로 보완됨
귀무가설이 기각되면 남게 되는 가설인 연구가설을 채택
ex)당뇨환자교육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는 집단간에는 당뇨자가 간호 지식정도에 차이가 없다
대립 가설(연구가설)은 귀무 가설의 반대임.
앞선 예시에서 대립 가설은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음
“모발 성장 세럼을 사용하는 남성은 모발 오일을 사용하는 남성보다 탈모율이 더 낮다”.
ex)당뇨환자교육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는 집단간에는 당뇨자가 간호 지식정도에 차이가 있다
* 가설 진술에는 연구가설(~차이가 있을 것이다)을 쓰는 것이다.
5. 통계적 가설 (Statistical hypothesis): 통계적 증거 생성을 위해 모집단의 일부 또는 하위 집합에 대해 통계적으로 검증되며, 결과는 나머지 모집단을 기반으로 추정됨
이러한 가설은 논리의 범위 내에 있지 않더라도 통계적으로 검증된다면 성립됨
[예시] 인도 인구의 75%는 비타민 D가 결핍되어 있다.
6. 논리적 가설 (Logical Hypothesis) : 이 가설은 관찰을 설명하거나 변수 간의 관계를 제안하기 위해 논리를 사용하지만, 이에 대한 광범위한 증거가 부족할 수 있음
대부분의 경우 증거 수집이 불가능할 수 있지만, 논리적 가설은 흔히 거부되지 않음
[예시] 규칙적인 수면-각성 패턴은 학생들의 집중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연구절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논문 작성 프로세스 (0) | 2024.06.07 |
---|---|
연구주제 설정이 되었다면....그 다음은 데이터 특성파악하기 (2) | 2024.05.02 |
2023년 1학기 학위논문 준비 절차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