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강을 하자마 논문절차는 시작됩니다.

3월 2(목) - 10(금)까지 논문대체 학위수여 신청을 진행합니다. 프로젝트보고서, 학술논문 방식을 선택하게 됩니다.
이 전까지 가급적 서론, 이론작 배경과 선행연구 동향, 가설설정과 데이터 분석까지는 진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래야 논문초록발표 과정 전에 가설검증과 결론을 도출하여 발표가능한 일정이 나올껍니다..

ㅁ 1단계 넘어야할 고비, 시작하면 멈출수 없다.
- 3월 13(월) - 22(수)
- 2023년 석사학위 청구논문 초록신청

초록에는 결론까지 미리 파악하여야 제시해야 합니다. 가설설정을 증명하는 과정에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는 방식으로 완성도를 최대한 높여서 초록발표를 하시는 것이 향후 2개월이 편하실 것입니다. 그러려면 전반부 2달정도 미리 준비를 하셔야겠죠...
고통의 총합은 같다.
요령은 결국 더 큰 댓가를 치러야 한다
최강모
고통의 총합은 같다라는 말 명심하시길..
ㅁ 2단계 넘어야할 고비.. 초록발표준비
- 3.27(월) - 4.11(화)
- 2023년 석사학위 청구논문 초록발표 기간

- 초록발표에서 심의가 통과된 사람들은 4월 18(화) - 20(목)까지 2023년 가을 석사학위청구논문 심사용논문 및 심사료 납부하여야 합니다
ㅁ 3단계 넘어야할 고비...심사용 논문 제출하기
- 4월 26(수) - 5월 26(금)
- 2023년 가을 석사학위청구논문 심사 진행

심사과정에서 제출하는 논문은 형식과 내용의 완결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카피킬러 검증을 통해 10%이하로 표절율을 조정하셔야 합니다. 법령이나 테이블 값들을 자주 인용하면 표절율이 높아지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심사과정에서 수정필요부분을 회신받으면 보완을 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완결성을 높이기 위해 지도교수님과 미리미리 논문의 완결성을 높여서 심사용 논문을 제출하는 것이 효율적이겠죠..
5월 22(월)부터 6월 9일(금)사이에 2023년 가을 졸업대상자 졸업논문 제출을 진행하게 됩니다.
보완이 완료되면 카피킬러 재확인 후 권장하건데 7%이내로 조종이 되도록 해보시고 중앙도서관에 전자파일 업로드를 하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이 절차부터는 스스로 일반대학원에 서류와 행정을 진행해야 하기에 일정관리에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ㅁ 4단계 넘어야할 고비, 끝내는건 내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6월 2일(금)까지 2023년 가을 석사학위청구논문 심사결과 제출을 하게 되면 제본 진행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심사인준지에 심의교수님들에 날인을 개별적으로 받으셔야 합니다.

지도교수님에 날인을 우선 받으시면 다른 2분도 큰 문제 없다면 날인을 해주실 것입니다. 3분을 만나셔야 하기에 일정조율도 관건이 될 것입니다. 꼭 찾아뵙고 날인 받는 것이니 개인일정을 미리미리 여유롭게 설정하시길 권장합니다.
지긋지긋 하다는 느낌이 들때쯤 끝이 보이기 시작할 껍니다..
7월 7일(금) 전까지 오타와 최종 문구 수정, 감사의 글 등을 정리하셔서 7일에 2023년 가을 석사학위 최종제본논문 제출을 하시면 드디어 석사학위논문 대장정이 끝납니다..

졸업식 전에 지도교수님께 감사인사겸 제본 논문 드리려 미팅하시고 당당하게 석사로 학위수여를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글. 최강모. 2023.1.21
'연구절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논문 작성 프로세스 (0) | 2024.06.07 |
---|---|
연구주제 설정이 되었다면....그 다음은 데이터 특성파악하기 (2) | 2024.05.02 |
연구가설 (1)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