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절차

연구논문 작성 프로세스

반응형

논문 작성을 위한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1. 계획 및 준비 단계

* 주제 선정
- 연구할 주제를 명확히 설정하세요.
- 관심 분야에서 독창적이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주제를 선택합니다.
- 가급적 인과관계가 명확한 주제를 선택하시는 것이 연구과정의 정합성을 유지하기 수월합니다.


* 문헌 조사*
- 기존 연구를 조사하여 관련 논문, 책, 논문 등을 검토하세요.
- 이를 통해 연구의 배경과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문헌조사는 연구주제의 신규성을 확인하기 위한 부가적 목표도 존재합니다.

* 연구 질문 설정
- 연구 질문이나 가설을 구체적으로 설정합니다.
- 이 질문이 논문의 방향성을 결정짓게 됩니다.
- 왜, 어떻게라는 질문간에 관계를 중심으로 생각해보시면 독립변수(원인)와 종속변수(결과)가 명확해지기도 합니다.

2. 자료 수집 및 연구 수행

* 연구 방법 설계
- 연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계합니다.
- 실험,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 등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결정하세요.

* 자료 수집
- 계획된 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합니다.
- 실험 데이터를 얻거나, 설문 조사를 실시하거나,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분석
-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합니다.
- 통계 분석, 텍스트 분석 등 다양한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논문 작성

* 구조 설계
- 논문의 기본 구조를 설계합니다.
- 일반적으로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 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의 순서로 구성됩니다.

* 초안 작성
- 각 섹션별로 내용을 채워가며 초안을 작성합니다.
- 논리적인 흐름을 유지하면서 자료를 기반으로 한 명확한 설명을 추가하세요.

**참고문헌 작성
- 참고한 모든 문헌을 형식에 맞게 정리합니다.
- APA, MLA, Chicago 등 필요한 형식에 맞춰 작성하세요.

4. 검토 및 수정

* 자기 검토
- 작성한 논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꼼꼼히 읽으며 오류나 수정할 부분을 찾습니다.

* 동료 검토
- 동료나 지도 교수에게 논문을 검토받습니다.
-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수정 및 보완
- 받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논문을 수정하고 보완합니다.
- 필요하다면 여러 번 반복하세요.

5. 최종 점검 및 제출

* 형식 검토
- 학회나 저널의 형식 가이드라인에 맞게 논문을 최종 검토합니다.

* 언어 검토
- 문법, 철자, 문장 구조 등을 다시 한 번 확인합니다.
- 필요하다면 전문 교열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 제출
- 최종적으로 논문을 제출합니다.
- 제출 후에는 심사 과정에 따른 피드백을 받을 준비를 합니다.

<추가 팁>

- 시간 관리: 각 단계마다 구체적인 일정을 세우고 엄수하세요.
- 도구 활용: 레퍼런스 관리 소프트웨어(Zotero, EndNote 등), 통계 분석 도구(SPSS, R 등)를 적극 활용하세요.
- 피드백: 여러 번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논문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프로세스를 따르면서 체계적으로 논문을 작성하면 보다 효율적이고 완성도 높은 논문을 작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