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스토리라인이 중요하다.
요즘 잘 만들어진 시나리오가 웹툰이나 영화, 드라마 등으로 제작되었던 것은 많이들 알고 계실 것이다.
논문도 독자가 있기에 시나리오처럼 독자에게 어떻게 읽혀나갈지, 어떻게 소통하며 연구한 내용을 전달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혼자보는 일기장처럼 자유롭게 적어나가면 형식주의적인 논문 투고나 학위논문제출에 빨간 신호등이 켜질 것이다.
• 사회과학의 연구주제에서 어떤 원인과 결과가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있다.
- 사회과학은 사회현상을 과학적 방식으로 검증이 가능한 관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연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 현상을 해석하여 향후 발생예측을 하는 연구 (통계를 통한 산술식 도출)
- 현상 속에서 개선 요소를 변화시켰을 때 변화결과를 재확인하는 연구 (조절)
시나리오는 연구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갈등구조나 재미요소를 투여해 놓을 수 있다.
•사례연구(Case Study)
- 심층적인 연구와 통계방법을 이용하기보다는 연구 문제에 대해 깊게 이해하는 목적으로 진행하는 연구
- 광범위한 연구를 좁은 범위에 적용하여 몇가지 연구사례를 만들어 내기 위한 목적의 연구로, 특정한 이론을 테스트하거나 실제 세계에서 이론과 모델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중점이 있음
•인과연구(Causal Research)
- 두가지 변수간의 원인 및 결과 관계를 밝히고자 조건문을 통해 현상을 이해하는 연구(콩을 심으면 콩이 난다)
- 기존의 규범이나 가정을 통해 특정한 변화가 올 것이라는 예측과 기대 효과를 측정하여 관계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가설”을 가지고 해당 연구를 수행해야 함
- 요인과 변수가 발생할 때 그 효과는 무엇인지 설명하는 연구
•종단연구(Longitudinal Design)
- 어느 한 시점에 머무르지 않고 상당 기간에 걸쳐 연구하는 것으로 변화의 패턴과 인과관계의 강도, 방향을 설명하기에 적합함
- 같은 샘플을 반복적으로 관찰을 수행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를 연구(트렌드조사, 코호트조사, 패널조사 등)
•횡단연구(cross-sectional study)
-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데이터를 수거하는 현황조사 같은 연구로 상관적 연구를 통해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나 변수를 통제하거나 변수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
- 코로나 발생(event)의 피해현황을 수집, 분석하는 연구로 표본의 크기가 클 수록 좋은 연구가 됨 (인구주택 총조사, 경제총조사 등)
- 종단연구에 비해 노력과 시간이 적게 소요됨
- 연구자의 편향으로 현황조사의 결과값이 오류가 날 수 있음
•실험연구(Experimental Design)
- 변인들간에 관계를 밝혀내기 위해 통제된 상황에서 독립변인들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그것이 종속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여 분석하는 방법
- 조작집단(실험군)과 통제그룹(대조군)으로 나눠 디자인되며, 종속변수의 변화를 살펴봄
- 예) 측백엽 및 황금 약침이 지혈효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의 동향을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할 때
정량적 모델 (과거의 객관적 데이터를 토대로 예측) | 정성적 모델 (주로 현장 현재데이터를 토대로 예측) |
계량 경제 모델(Econometric Model)
•경제적 변수를 활용한 복합 회귀 등식의 통계적 분석
|
고객조사(Market Survey)
•사업의 계획안이나 잠재적 고객의 동향에 관한 선형화 – Market/Pilot test 단계
|
회귀 분석 모델(Regression Model)
•종속 및 독립 변수간 변화(량)에 의해 설명되는 분석
|
시나리오 개발
•발생 가능한 위협 및 충격 요인의 영향도 예상– 제품수명주기(PLC, product life cycle) 전단계
|
시계열 분석 모델(Time Series Model)
•과거 시간 흐름에 따라 일정하게 관측된 자료에 분석한 분석
|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
•여러 전문가들의 독립된 의견을 종합하여 예측하는 기법 – 제품 개발 단계
|
추세 예측 모델(Trend Predictions)
•과거 실제 가치의 평균화나 선형 및 지수함수화에 의한 분석
|
브레인 스토밍
•그룹 회의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 제공 및 창출 – 제품 개발 단계
|
연구를 수행할때 자주 활용되는 통계적 분석방법도 스토리를 편하게 설명하려면 고려가 필요하다.
집단을 비교하는 분석방법 |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방법 |
카이검증 (빈도) |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1:1관계) |
ANOVA (분산분석), | 다중회귀분석 (n:1 관계) |
T-test | 로지스틱 회귀분석 |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방식을 활용하여 스토리의 강약을 조절할 수 도 있다.
- 질적 연구: 포커스 그룹, 현장관찰, 심층면접, 사례연구 등의 다양한 자료수집방법을 활용한 연구
- 자연적 상황에서 행위 관찰
- 현상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이해
- 유연성이 있으며, 연구자로 하여금 새로운 연구영역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함
- 일반화가 곤란
- 자료의 신뢰도
- 주의 깊은 계획이 필요
- 양적 연구: 서베이, 실험 등의 자료수집방법이 이용됨.
- 질문이 고정적, 표준화되어 있으며 모든 응답자가 동일한 질문을 받음
- 숫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 가능
우리는 주로 산업의 동향과 특이사항을 기반으로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었는지, 또는 향후 어떤 현상이 발생될지에 대한 연구스토리가 대부분이기에 과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어떤 기승전결을 만들어갈지도 고려해보면 때론 스토리설정이 쉬울 수도 있다.
•과학적 방법(scientific method)
- 경험적 증거(empirical evidence)를 가지고 현상에 대한 이론적 주장을 설명하거나, 불확실한 미래의 예측을 위해 진행되는 체계적인 절차방법을 의미한다.
-
과학적 방법으로 검정을 하게 되면 연구가설이 복잡해지고, 명확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
이때는 경험적인 자료를 가지고 확률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통계적 추측(statistical inference)이라고 한다.
-
통계적 추측은 경험적 증거로 부터 시작하여 연구가설의 기각여부를 판단하는 결정을 내리기까지의 단계를 확률을 이용하여 논리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과학적 방법의 진행
- 1) 문헌연구나 관련된 사전지식을 정리하고
- 2) 개념을 정리하여 명제를 구성하고
- 3) 연구가설을 설정한 다음
- 4)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연구설계를 만들고
- 5)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고
- 6) 자료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 7) 연구결과를 설명하고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새로운 문제점을 제시하는 절차를 따른다.
예시)
•플로피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컴퓨터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다면…
•가설1 H1 : 플로피 디스크에 결함이 있다.
•가설2 H2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가 고장이다.
•가설3 H3 : 사용할 워드 프로세서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가설4 H4 :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
•가설5 H5 : 컴퓨터가 고장이다.
•가설6 H6 : 사용할 파일이 깨져있다.
•이와 같은 모든 가설을 하나씩 검사하면서 가설들을 기각시켜 나가다보면 가설이 성립되는 상황을 만나게 될 것이고, 이에 해당하는 상응한 조치를 하면 될 것이다.
글. 최강모. 2023. 03.15
반응형
'연구주제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주제의 체계적 검토를 위한 질적연구방법 소개 (0) | 2024.05.06 |
---|---|
학위논문 준비 시작(warming up) (0) | 2023.03.09 |
논문준비 첫걸음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