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문이란 새로이 발견된 앎(지식)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다른 이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보고서이므로,
- 체계적이며 (기본적인 양식이 주어짐)
- 논리적이고 (사회과학적 입증과정이 필요)
- 일관성 있게 (가설과 검증, 선행연구와 연구결과의 비교)
- 일정한 양식과 형식에 맞추어 작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논문은 보통의 글과는 달리 반드시 갖추어야 할 형식과 요건들이 있다.
이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논문은 아무리 글솜씨가 빼어나다고 해도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없으며, 단순한 현황을 정리한 보고서가 될 수 있다.

•연구보고서(report)
- 읽어야할 자료들을 조사하고, 읽은 내용을 파악하고 비교군과 상호비교(분석)하여 차이점이나 특이점을 기록하는 보고서 형태의 연구결과물을 말한다.
-
보고서는 사실, 사건, 현상 등에 관한 글로서, 관찰, 견학, 답사, 조사, 채집, 실험, 분석 등을 통해 얻는 결과를 정확히 정리하여 제출하는 것으로
-
보고서에는 주관적인 견해나 주장 또는 입장이 포함되기도 하는데, 이렇게 되면 논문의 성격을 띠게 되어 논문작성의 기초적 훈련과정에서 작성하기도 한다.
•연구논문 (Research Paper)
- 전문분야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논문을 말하며, 주로 학사학위취득 수준의 논문을 지칭한다.
- 연구 논문은 탐구 대상에 따라 자연과학, 사회과학, 정신과학으로, 탐구방법에 따라 귀납적 방법, 분석적 방법, 연역적 방법으로 분류된다.
•Essay(학술논문)
- 기말과제 수준으로 작성되는 것으로 학위논문 보다는 짧고 한수 낮은 term Paper 같은 정도이다.
- 이론을 근거로 정리하지 않고 트렌드와 개념정도를 정리하는 수준인 경우가 많다.
•Article, Full paper (기고용 논문)
- 학술지, 저널, 신문이나 잡지, 또는 논문집에 투고하는 비교적 간단한 논문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인쇄후 20장 이내 분량정도이다.
- 대체로 상황, 계절, 환경 및 시사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학위논문 (thesis)
- 시대적 흐름이나 관심사가 포함된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 가설을 통해 기각과 채택이라는 방식으로
-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며(가설검정) 현상을 명제 확인을 통해 이론으로 체계화하여 설명하는 연구보고서의 상위 수준
- 연구목적,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분석결과, 결론 순으로 작성함
- 독창성(신규성), 실증성(증거기반), 논리성(객관성)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학술논문(academic thesis 또는 paper)
- 학위와 상관없이 관련 분야에 특이한 현상이나 새로운 연구시각, 연구방법 등을 학술단체(협회나 학회)를 통해서 공론화하고 개선방안들을 함께 생각해보는 논리적 연구문서를 말한다.
•평론(Review paper)
- 특정한 주제나 전문분야와 관련된 최근의 논문이나 저서를 소개하고 비평하는 것을 말하며, 평론은 객관적인 입장에서 비판하고 논평할 수 있어야 하기에 해당분야 전문가이어야 작성가능하다.
-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연구결과와 동향을 한눈에 개관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하되, 주요내용만 간추려 단조롭게 서술하지 말아야 하며 문헌의 출처와 전문근거자료들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 방대한 문헌이 잘 정리되어 있기에 낯선 분야의 연구현황이나 연구결과에 대해 개괄적 수집을 할 때 유용한 자료가 된다.
- 석/박사 과정에서 평론에 가까운 정책이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연구는 수행할 수 있지만 기고를 진행하게 될때는 단독으로 추진하는 것이 전문가가 아니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평론에 가까운 연구를 수행할때는 공동연구로 지도교수와 함께 진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반응형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사, 석사, 박사의 차이점 (0) | 2023.02.14 |
---|---|
학사와 석사, 그리고 박사 (0) | 2023.02.06 |
논문이란 어떤 것인가? (0) | 202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