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論文)은 "어떤 주제에 대해 학문적 연구결과나 의견, 주장 등을 과학적 논리기반으로 풀어서 설명하는 일정 형식과 절차로 일관성있게 체계적으로 작성한 문서"을 말한다.
-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가설을 통해 기각과 채택이라는 방식으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며(가설검정) 현상을 명제 확인을 통해 이론으로 체계화하여 설명하는 것
- 연구목적,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분석결과, 결론 순으로 작성
- 논문은 독창성(신규성), 실증성(증거기반), 논리성(객관성) 요건을 충족하여야 함
연구(硏究)는 "지식에 대한 탐구를 기반으로 한 인간의 활동"을 말하는데,
지식은 이미 보유한 정보들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렇기에 당연히 기존에 관련 정보들이 존재하고 이 정보들간에 연관성을 관찰하고 유의한 현상파악이 되면 이를 과학적 방식으로 복기(復棋)하고 재확인 할 수 있도록 검증하는 과정이 연구과정이다.
연구의 기본적인 목표는 지식화 할 수 있는 개념을 정규화, 공식화하기 위해 증거를 제공하거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해하기 쉽게 해석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는 잘 수행되었다고 하더라도 설명하는 문서(paper)를 잘 작성하지 못하면 일반 대중에게 연구한 결과를 공유하기 어려울 것이기에 이를 일정한 형식과 절차로 구성한 것이 논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를 논리적으로 잘 정리해 놓은 문서가 논문이라 한다.
보통 학위 논문은 thesis, dissertation로 번역되는데,
씨시스(Thesis)는 논제나 주제를 명확하게 정립하고 제안하는 것을 말하는데, 기존의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면서 연구수준을 고도화하는 방식을 지칭하며 주로 학사와 석사학위논문을 말할때 사용된다. ‘박사논문 (doctoral thesis)’에서는 다수의 연구문제 진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디서테이션(Dissertation)은 학술적 의미가 높은 논문은 지칭하는데, 연구수준이 높은 석사학위논문이나 박사학위 논문을 미국에서는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고, 영국은 반대로 씨시스로 표현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단일 주제에 집중하여 검토하고 논의하는 연역법적 연구방식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박사논문(dissertation)은 문헌검토와 더불어 실험실 연구, 본인이 수행한 설문 및 인터뷰 등 독립적인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연역적으로 인과관계를 재검토하는 과정이 포함되며, 석사논문(thesis)은 기존에 선행연구결과를 정리하고 특이한 새로운 화두를 선행연구방식으로 검증하여 재확인과 차이를 논증하는 과정으로 기술된다. 따라서 석사논문(thesis)의 길이가 박사논문(dissertation) 보다 훨씬 짧은 편이다.
번외로 학술논문(academic thesis 또는 paper)이란 표현도 사용되는데, 학위논문은 기본적으로 학위를 부여받을 수 있는 자격이나 역량을 확인하는 평가문서라고 한다면, 학술논문은 학위와 상관없이 관련 분야에 특이한 현상이나 새로운 연구시각, 연구방법 등을 학술단체(협회나 학회)를 통해서 공론화하고 개선방안들을 함께 생각해보는 논리적 연구문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관련 분야에서 본인이 이런 연구주제에 관심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는 표시이기도 하고 사전 반응검증을 하는 것일 수도 있어서 연구자로 데뷔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글. 최강모, 2023.02.01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과 연구보고서의 차이점 (0) | 2023.03.08 |
---|---|
학사, 석사, 박사의 차이점 (0) | 2023.02.14 |
학사와 석사, 그리고 박사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