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의료기기 산업에서 비즈니스모델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연구내용을 살펴볼까 합니다.
출처: "Circular business models in the medical device industry: paths towards sustainable healthcare" (D. Guzzo et al., Resources, Conservation & Recycling 160 (2020) 104904)
D. Guzzo는 이 연구에서 의료 기기 산업에서 순환 경제 모델의 적용을 탐구하여 지속 가능한 의료로 나아가는 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2020)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는 자원 및 에너지 루프를 늦추거나, 닫거나, 좁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목표로 하는 경제 시스템입니다.
전통적인 선형 경제(생산-사용-폐기)와는 달리, 순환경제는 제품과 자원의 생애 주기를 연장하고 재사용, 재활용, 리퍼브(refurbishing) 등을 통해 자원을 순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순환경제는 환경 보호와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접근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의료기기산업은 사회적 기능이 중요하지만, 사용후 자원활용도 고려가 되어야 하는 산업영역이기도 합니다.
이에 연구자는 다양한 의료기기의 수명주기와 영향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의료기기산업에 특화된 비즈니스모델 유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의료 기기의 특정 수명 주기와 영향을 고려하여, 아홉 가지 산업별 순환 비즈니스 모델(Circular Business Model, CBM)을 식별하고 제품 가치와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였습니다.
- 이러한 CBM은 기술적 재활용을 활성화하고,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이점을 향상시킬 잠재력을 지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의료 기기 산업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위생이 요구되는 다른 산업에도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선 연구결론부터 정리해 보면,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의 Daniel Guzzo 교수는 의료기기 산업에서 순환경제 기반의 비즈니스모델 유형을 제시하였습니다.
유형 |
CBM 유형 (영문)
|
CBM 유형
(한글 번역) |
간략한 설명
|
1
|
Full-care equipment-as-a-Service
|
풀케어 장비 서비스
|
임대 또는 리스 계약을 통해 장비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며,
수명 주기 서비스(교정, 유지보수, 수리 등)를 포함하는 비즈니스 모델 - 장비가 핵심 자산이 되고, 고객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장비를 유지 관리하는 지원팀의 역량이 중요 예: Medtronic의 Integrated Health Solutions |
2
|
In-hospital lifecycle care services
|
병원 내 수명 주기 관리 서비스
|
병원에서 소유한 의료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유지보수 서비스를 계약 기반으로 제공하는 모델
- 예방, 예측, 교정 유지보수 및 부품 제공이 포함될 수 있음 - 장비나 제품유지관리를 위한 인력필요성 절감효과 있음 예: Steris의 서비스 계약, Philips의 원격 서비스 |
3
|
Support for hospital-based reprocessing
|
병원 기반 재처리 지원
|
병원 내에서 의료 기기를 세척, 소독 및 멸균할 수 있도록 장비, 소모품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모델
- 병원은 일회용 기기 구매 및 폐기 비용 절감 효과 있음 예: Medivators의 Renatron, Cantel Medical + EMS Healthcare의 이동형 내시경 소독 장치 |
4
|
Mobile solutions
|
이동형 솔루션
|
주로 고가 장비를 트럭이나 임시 건물에 설치하여 단기 임대 형태로 여러 병원에 제공하는 모델
- 병원은 새로운 장비 투자 없이 서비스제공이 가능하여 원가절감 운영효과가 있음 예: Shared Medical Solutions의 이동형 및 모듈형 솔루션, Canon의 이동형 솔루션 |
5
|
Platform for devices circulation
|
의료 기기 순환 플랫폼
|
의료 기관 간에 중고 의료 기기의 공유, 임대 또는 판매를 용이하게 하는 제3자 공유 플랫폼
- 병원이 사용하지 않는 자원운영으로 수익창출 가능 예: DOTmed, Promed, Cohealo, Floow2healthcare |
6
|
Refurbished systems
|
재정비 시스템
|
신제품과 동일한 조건으로 보증을 제공하며, 고가 의료 장비를 선택, 해체, 검사, 부품 교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거쳐 재정비하여 제공하는 모델
- 고품질 장비의 활용성을 테스트해 볼 수 있 예: Siemens의 Ecoline, Philips의 Smart Path |
7
|
Full-provision of reprocessed devices
|
재처리된 기기 완전 공급
|
높은 중요도의 의료 기기를 수집, 재처리 및 제공하는 모델
- 병원은 초기 소독 및 분류를 담당하며, 서비스 제공업체가 재처리, 검사 및 재포장을 수행 예: Sterilmed, Pioneer Medical Devices의 MasterCut I.S.S. |
8
|
End-of-life (EOL) equipment collection
|
수명 종료 장비 수거
|
수명이 다한 의료 장비를 수거하여 부품을 회수하거나 재활용하는 모델
- 데이터 파괴 및 WEEE 재활용 규정 준수가 중요 예: Advanced Technology Recycling |
9
|
Continued collection of disposables
|
일회용품 지속적 수거
|
일회용 의료 기기를 지속적으로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모델
- PVC와 같은 특정 재료의 재활용에 중점을 두며, 병원의 폐기물 처리 비용 절감에 기여 예: Vinyl Council Australia/Baxter의 PVC 재활용, BD/Waste Management Healthcare Solutions의 BD ecoFinity Lifecycle Solution |
연구자는 9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기 위해 의료 기기 산업에서 순환 전략을 적용한 사례와 관련 연구 논문을 광범위하게 조사(체계적인 문헌연구, Systematic Literature Review)를 진행하였다고 한다.
- 의료 기기 산업 박람회 및 컨퍼런스 방문, 기업 웹사이트, 발표 자료, 보고서, 보도 자료 및 뉴스 검색을 통해 59개의 관련 CBM 사례를 식별
- "유료 사용(pay-per-use)", "공유(sharing)", "재사용(reuse)", "재정비(refurbishment)", "재활용(recycling)"과 같은 자원 순환 관련 키워드와 "의료(medical)", "건강(health)", "의료 관리(healthcare)", "병원(hospital)"을 조합하여 인터넷 검색 엔진을 사용
- 학술 및 비학술 연구를 식별하기 위해 사례 식별과 유사한 키워드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논문과 저자들을 탐색해 나갔으며,
- 관련산업 협회보고서들도 자료로 활용
수집된 사례들은 회사 및 솔루션 이름,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설명, 제공업체에 대한 정보들을 구분하여 정리하였다고 한다.
- 특히 기술사이클을 Lüdeke-Freund가 설명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분하였다고 한다.
- Lüdeke-Freund, F., Gold, S., Bocken, N.M.P., 2018. A Review and Typology of Circular Economy Business Model Patterns. J. Ind. Ecol. 00, 1–26. https://doi.org/10.1111/ jiec.12763.
-
(1) 수리 및 유지 보수(Repair and maintenance): 의료 기기의 기능을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활동을 포함
-
(2) 재사용 및 재분배(Reuse and redistribution): 사용된 의료 기기를 다른 용도로 다시 사용하거나 다른 의료 기관으로 재분배하는 것을 의미
-
(3) 재정비 및 재제조(Refurbishment and remanufacturing): 손상되거나 노후화된 의료 기기를 수리하고 필요한 부품을 교체하여 새 제품과 유사한 상태로 복원하는 과정을 포함(재제조는 일반적으로 더 광범위한 수리 및 개조를 포함)
-
(4) 재활용(Recycling): 더 이상 사용하거나 재정비할 수 없는 의료 기기의 재료를 회수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것을 의미
- 비즈니스모델은 오스왈더와 볼켄의 핵심요인들을 참고하여 구분하였다. (Bocken et al., 2018; Osterwalder and Pigneur, 2010)
- Bocken, N.M.P., Schuit, C.S.C., Kraaijenhagen, C., 2018. Experimenting with a circular business model: Lessons from eight cases. Environ. Innov. Soc. Transitions 28, 79–95. https://doi.org/10.1016/j.eist.2018.02.001.
- Osterwalder, A., Pigneur, Y., 2010. Business Model Generation, 1st ed. John Wiley & Sons, Inc., New Jersey.
-
가치 제안 (Value Proposition): 각 CBM 유형의 이름과 함께 해당 비즈니스 모델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핵심 가치를 간략하게 설명(이는 비즈니스 모델의 기본적인 약속을 나타냄)
-
가치 창출 (Value Creation): 해당 특정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는 데 관련된 주요 이해 관계자, 수행되는 주요 활동, 필요한 주요 자원 및 역량을 설명(이는 가치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논리적 구조를 보여줌)
-
가치 전달 (Value Delivery): 해당 비즈니스 모델이 어떤 고객 세그먼트를 대상으로 하는지, 고객 관계는 어떻게 유지되는지, 그리고 특정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채널을 설명(이는 만들어진 가치가 어떻게 고객에게 도달하는지를 나타냄)
-
가치 포착 (Value Capture): 비즈니스 모델 운영을 통해 조직(이익), 개인 및 사회(사람), 환경(지구)이 누릴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비즈니스 관행과 비교하여 설명(이는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창출된 가치가 어떻게 다양한 이해 관계자에게 분배되고 포착되는지를 보여줌)
전체 연구흐름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면서, 사례를 수집하고, 일정 규칙을 설정하여 분류작업을 진행하였다.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마지막단계에서는 각 케이스별 교차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빈도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방식으로 유형간 관계를 분석하여 학자의 연구취지를 확인하는 작업을 하였었다.
연구를 위해 연구디자인 순서를 한번 정리해보려 한다.
- 주제 선정 (연구 질문 또는 가설 설정)
- 문헌 조사 (관련 연구 및 이론 검토)
- 연구 설계 (연구 방법론 결정 (정량적, 정성적 등))
- 데이터 수집 (설문조사, 실험, 인터뷰 등)
- 데이터 분석(통계적 분석, 내용 분석 등)
- 결과 해석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 결론 및 제언